안녕하세요? 바른생활 프로젝트입니다. 우리 현대인은 자기 전의 하루에 있었던 일을 곱씹으며 괴로워하거나, 일상을 보내는 중에도 집중이 안 될 만큼 잡생각이 많아. 걱정을 하며 자신의 체력과 감정을 소비하고 있다. 예민한 사람일수록 이런 일에 많이 공감을 할 것이다.
왜 우리가 걱정과 불안을 하는지 그 근본적인 이유
만약 그 친구가 그러지만 않았어도, 전국적인 취업난만 아니었어도, 사랑하는 연인과 헤어지지만 않았어도, 그때 그 사고만 아니었어도 우리는 이런 걱정과 불안에 시달리지 않을 것이다.
하지만 사건사고를 줄이면 좋겠지만, 이것은 통제할 수 없는 영역에 있는 것이 대부분이다.
누군가가 나를 싫어한다거나 사소한 일, 이별, 죽음과 같은 자연적으로 일어나는 천제 지변 같은 일은 우리가 컨트롤할 수 없는 영역의 일이다.
하지만 사건사고 이후의 감정은 우리 스스로가 컨트롤이 가능하다. 사건이 터지고 금방 회복을 하고 일상으로 돌아오는 사람과 몇 년 동안 앓고 힘들어하는 사람들의 근본적인 차이가 여기에 있다.
아프지 않은 법이 아니라 한 번만 아파하는 법
우리 뇌는 오직 생각만으로 과거나 미래의 시간과 장소를 넘나들며 그 순간에 가 있는 듯한 기분을 느낀다.
미래 계획을 세우거나 추억팔이를 할 때 이 능력이 요긴하게 쓰인다. 그러나 정말 멍청하게도 몇몇 사람들은 아무 이유나 목적도 없이 누군가에게 뚜드려 맞기 바로 직전으로 시간여행을 한다.
그것도 끊임없이, 계속
실신할 정도로 데미지가 축적되어가는 데도 또또 반복적으로 맞고, 또 맞고 대미지를 축적한다.
현대인은 대부분의 시간을 과거와 미래의 '걱정'에 쓴다고 한다. ' 그때 난 왜 그랬지? ' , ' 앞으로 어떻게 살아야 하지? ' 지금 이 순간에도 많은 사람이 현재는 내팽개치고 과거에 대한 후회와 미래에 대한 걱정으로 부정적인 생각에 시달리며 현재의 감정과 체력을 깎아 먹고 있다.
집중하지 못하는 상태를 과도하게 지속하면 불안과 우울에 빠지고, 감정의 굴곡도 심해진다.
본론으로 넘어가자면, 이 굴레를 극복하는 해결책은 생각보다 간단하다.
간단히 시간여행 금지, 잡생각 금지라는 거다.
그래 그렇다. 집중하는 것. 그것이다.
지금 내가 뭘 하든지 간에, 상황이 지루하든, 재밌든, 불쾌하든 상관없이 지금 이 순간에 온전히 집중하는 것만으로 집중을 해서 시간여행을 할 타이밍을 뺏는 것만으로도 우리 마음은 안정이 된다고 한다.
하지만 우리는 짧은 시간도 온전히 생각을 비우는 것이 얼마나 힘든 일인지 금세 깨닫게 된다.
처음부터 욕심내지 말고 숙련도를 쌓아보시길 바란다.
우리는 대부분의 일상을 그저 판에 박힌 규칙과 습관대로 움직인다. 익숙하고 바쁜 일상에 시간을 그저 멍하니 흘려보낸다. 지하철이나 버스를 탈 때, 뭘 먹거나 유튜브를 볼 때 제대로 인식하고 있는 경우가 드물다.
그러니 이제는 그런 자동적인 행동을 멈추고, 일상 속에서 지나쳤던 것들에게 관심을 기울이자.
샤워할 때, 피부에 닿는 물의 촉감을 온전히 느껴보거나, 음식을 먹을 때 다른 걱정이나 생각을 접어두고 먹는 것에 집중을 하고, 출근길에 변화하는 풍경들을 관찰해 보는 것이다.
이렇게 '지금'에 집중하는 행동을 하는 것 만으로 이런 행동을 늘려 가다 보면, 과거의 기억에서 벗어나
'지금, 여기'에 집중하는 힘을 기를 수 있게 될 것이다.
특히 집중하는 것에 효과를 증폭시키기 위해서는 명상을 해주는 것이 좋겠다.
명상을 거창하게 할 필요는 없고 잠시 시간이 날 때 나의 호흡에 집중해보는 것으로 충분하겠다. 과거와 미래에 얽매이지 말고 현재를 집중하는 힘을 길러 주는 것이다.
결국은 흔한 얘기라고 느낄 수도 있지만, 가장 중요한 인생 진리가 이기도 한다.
지금, 여기 현재에 충실하라는 것. 당신이 후회했던 그때도 당시에는 ' 지금 , 여기'였고, 걱정하는 미래도 시간이 되면 ' 지금, 여기'가 될 것이다.
우리는 늘 '지금, 여기'에 있다.
'바른생활프로젝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토지 지분 투자 책 리스트 (0) | 2022.10.28 |
---|---|
물단식전, 식욕을 줄이는 방법 (0) | 2022.08.02 |
40대 인간관계에 대하여 (0) | 2022.07.29 |
2022년 제 26회 부산바다축제 개최 참고하세요~! (0) | 2022.07.25 |
물단식 전, 규칙 세가지 (0) | 2022.07.19 |
댓글